두아앙의 기록보관소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보안
        • 암호학
        • PKI
        • 인증서
        • 전자 서명
      • 설계
        • 객체지향 개념
        • 설계 원칙
        • 실행 모델
        • 디자인 패턴
      • 네트워크
  • 홈
  • 태그
  • 방명록
설계/실행 모델

동기와 비동기 한 번에 이해하기 - 정의, 특징부터 코드 예제까지

1. 개요 - 왜 동기와 비동기가 중요한가?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버튼을 눌렀는데 화면이 잠시 멈춘 듯 보일 때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서버에서도 벌어진다. 어떤 요청 하나가 오래 걸리는 작업에 묶이면 그동안 다른 요청이 대기열에 쌓이고, 전체 응답 속도가 현저히 늦어진다. 이런 현상들은 작업의 진행 방식을 어떻게 설계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프로그램은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작업이 끝날 때까지 그 자리에서 멈춰 서서 기다릴 수도 있고, 반대로 결과가 준비되기 전이라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일을 먼저 진행한 뒤 나중에 결과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전자를 동기(Synchronous), 후자를 비동기(Asynchronous)라고 부른다. 이 선택은 단순히 코딩 스타일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의 응답성, 동..

2025. 10. 2. 20:00
네트워크

내 검색어는 어떻게 구글 서버에 도달할까? 인터넷 경로와 라우팅 이해하기

1. 검색어는 어떻게 서버까지 전달될까?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얻는다. 검색창에 단어를 입력하거나 즐겨 찾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일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그러나 이 단순해 보이는 행동 뒤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기술적 과정이 숨어있다. 아마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을 가져봤을 것이다. "내가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그 검색어는 어떻게 구글 서버까지 도달할까?" 이를 풀어보기 위해 하나의 상황을 떠올려 보자.하루 일정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카리나는 자신의 활동이 뉴스에 올라왔는지 궁금해 스마트폰으로 구글 검색을 한다. 불과 1초도 되지 않아 화면에는 수많은 검색 결과가 나타난다. 겉보기에는 단순한 과정 같지만, 그 짧은 순간에도 수백, 수천 개의 네트..

2025. 8. 12. 14:04
네트워크

패킷과 PDU로 풀어보는 OSI 7계층과 TCP/IP 통신 이야기

1. 클라이언트의 검색 요청 시 어떤 데이터가 전송될까?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얻는다. 검색창에 단어를 입력하거나 즐겨 찾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일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그러나 이 단순해 보이는 행동 뒤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기술적 과정이 숨어 있다. 아마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을 가져봤을 것이다. "내가 검색창에 글자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실제로 어떤 데이터가 구글 서버까지 전달될까?" 이를 풀어보기 위해 하나의 상황을 떠올려 보자.하루 일정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윈터는 자신의 활동이 뉴스에 올라왔는지 궁금해 스마트폰으로 구글 검색을 한다. 불과 1초도 되지 않아 화면에는 수많은 검색 결과가 나타난다. 겉보기에는 단순한 과정 같지만, 내부에서는 정형화된 메..

2025. 8. 5. 13:49
보안/전자 서명

CMS SignedData 정리 : 개념 및 구조부터 동작 원리와 활용 예시까지

1. 디지털 전자 서명의 신뢰 기반 - SignedData의 역할디지털 환경에서의 신뢰는 보안의 핵심 기반이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HTTPS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인증서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그렇다면 사용자는 어떻게 "이 서명이 유효하다" 또는 "이 메시지는 위변조되지 않았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증서 기반 로그인 시스템을 통해 민감한 정보를 서버에 제출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서버는 해당 정보가 실제 사용자가 보낸 것인지, 전송 중에 누군가에 의해 변조되지 않았는지를 검증해야 한다. 이러한 검증 과정에서 전자 서명이 사용된다. 그러나 여기서 다시 질문이 생긴다. "단순히 전자 서명 값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 메시지의 무결성과 진위를 어떻게 보장할 수 있..

2025. 7. 21. 18:02
설계/설계 원칙

SOLID의 DIP : 변화에 강한 구조를 만드는 의존성 역전 원칙

1. 의존성이 왜 문제인가? 시스템이 망가지는 구조의 시작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하다 보면, 단순한 기능 변경이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문 처리 후 완료 시 이메일을 발송하는 기능을 처음에는 단순하게 구현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SMS나 푸시 알림도 함께 발송하라는 요구가 추가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개발자는 기존의 이메일 발송 코드에 SMS나 푸시 알림 전송 로직을 그대로 덧붙이는 방식을 선택한다. 처음에는 빠르게 동작하므로 문제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이런 방식은 시스템의 복잡도를 빠르게 증가시킨다. 가장 큰 문제는 비즈니스 로직이 특정 기술 구현에 직접 의존하게 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 등록'과 같은..

2025. 5. 12. 17:14
설계/설계 원칙

SOLID의 ISP : 역할 중심 설계를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1. 구조를 망치는 인터페이스정교하게 설계된 애플리케이션도, 시간이 지나고 요구사항이 누적되면 점차 구조적인 균열이 드러난다. 특히 문서에는 '공통 인터페이스'라 명시되어 있지만, 실제 구현을 맡은 개발자는 "이 메서드, 왜 내가 구현해야 하지?"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 질문은 단순한 불만이 아니다. 이는 인터페이스의 책임과 역할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다. 그 원인은 범용 인터페이스에 있다. 처음에는 기능 통합과 재사용성 증대를 위해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묶는 것이 타당해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각기 다른 책임이 뒤섞이기 시작하고, 구현체는 자신과 무관한 기능까지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구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모두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아무도 적합하지 않은 구조'로 변질된다. 이로..

2025. 5. 7. 15:58
  • «
  • 1
  • 2
  • 3
  • 4
  • ···
  • 7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보안
      • 암호학
      • PKI
      • 인증서
      • 전자 서명
    • 설계
      • 객체지향 개념
      • 설계 원칙
      • 실행 모델
      • 디자인 패턴
    • 네트워크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태그

  • #디자인 패턴
  • #OID
  • #전자 서명
  • #SignedData
  • #Solid
  • #OOP
  • #정책
  • #구조 패턴
  • #CMS
  • #ASN.1
  • #공개 키 암호화 방식
  • #End Entity
  • #OCSP
  • #키쌍
  • #암호학
  • #HSM
  • #X.509
  • #CRL
  • #인증서
  • #pki 구성요소
  • #RA
  • #RSA
  • #기본 필드
  • #인증서 유효성 확인
  • #PKI
  • #dn
  • #생성 패턴
  • #확장 필드
  • #CA
  • #무결성
MOR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블로그 인기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두아앙의 기록보관소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