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증서 발급 과정
다음은 인증서 발급을 위한 공개 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astructure)의 구성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내용이다.
- 사용자는 신분증을 제시하는 방법 등 정책에 기재된 방식으로 등록 기관(RA, Registration Authority)에게 신원 확인을 요청한다.
- RA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이상 없음을 확인한다.
- RA는 인증 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에게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다.
- CA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
- 사용자는 키쌍 생성 후 인증서 서명 요청문(CSR, Certificate Signing Request)을 생성한다.
- 사용자는 RA에게 CSR을 첨부하며 인증서 발급을 요청한다.
- RA는 CA에게 CSR을 첨부하며 인증서 발급을 요청한다.
- CA는 사용자 등록 여부를 확인 후 인증서를 발급한다.
- CA는 발급한 인증서를 LDAP 서버에 전송한다. LDAP 서버는 전달받은 인증서를 저장한다.
- CA는 발급한 인증서를 RA를 거쳐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 참고 : 인증서 서명 요청문 (CSR, Certificate Signing Request)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한 요청 문서이다. 해당 요청문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인증 기관이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활용된다.
1. 사용자의 공개 키 : 인증서에 사용자의 공개 키를 포함하기 위함.
2. 사용자의 신원 정보 : 인증 기관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여부 확인 후 인증서에 해당 정보가 포함.
3. 사용자의 서명값 : 사용자의 개인 키를 사용하여 CSR에 서명한 값. 해당 값으로 무결성을 확인.
2. PKI 인증서 발급 성공의 의미
CA가 사용자의 인증서를 발급했다는 것은 단순한 행위를 넘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내포한다.
- 인증 기관을 통한 사용자의 신원 검증 완료.
- 인증 기관의 신뢰가 무너지지 않는 한 사용자의 키쌍을 신뢰할 수 있음. (참고 : CA의 신뢰성 메커니즘)
- 사용자의 인증서는 인증 기관의 신뢰 체계의 일부로 편입됨. (참고 : 인증 경로와 인증서 체인)
- 사용자는 자신의 인증서를 적절히 관리하고 개인 키를 안전하게 보호할 책임이 부여됨.
3. 발급된 인증서 활용 예시
다음은 발급된 인증서가 네트워크 상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이다.
- 지젤이는 인증서 발급 과정을 거쳐 이미 자신의 인증서와 개인 키를 소유 중이다.
- 지젤이는 은행 업무를 온라인으로 보기 위해 은행 서버에 접속한다.
- 지젤이의 브라우저는 '인증서를 활용한 로그인'을 하기 위해 자신의 개인 키로 전자 서명을 수행하여 SignedData를 생성한다.
- 지젤이의 브라우저는 SignedData를 은행 서버에 전송하며 로그인 요청을 한다.
- 은행 서버는 인증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 은행 서버는 전달받은 서명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 은행 서버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 후 로그인 요청에 대해 성공 응답을 보낸다.
- 이후 지젤이는 은행 업무를 본다.
※ 참고
SignedData : 데이터의 무결성과 송신자의 신원 인증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로 주로 디지털 서명에 활용된다.
4. 마무리
이번 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CA는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인증서를 발급한다. 발급된 인증서는 사용자와 LDAP 서버에 안전하게 전달된다.
- '인증서를 발급했다'는 것은 사용자의 신원, 키쌍 정보를 PKI 체계 내에서 신뢰할 수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발급된 인증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암호화, 디지털 서명 등 다양한 보안 기능에 활용된다.
'보안 > 공개 키 기반 구조 (PKI)' 카테고리의 다른 글
PKI : 인증서 유효성 확인 - CRL 방식의 이해 (0) | 2025.01.17 |
---|---|
PKI : 인증서 유효성 확인 - CRL vs OCSP (0) | 2025.01.17 |
PKI : 인증서 폐지 과정의 이해 - 폐지 사유, CSR 생성, OCSP까지 (0) | 2025.01.14 |
PKI 구성 요소: 인증 기관부터 키 저장소까지 (0) | 2025.01.13 |
PKI란? 공개 키 기반 구조 개념부터 활용 사례까지 (0) | 2025.01.13 |